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어린 야구 선수의 투구 부상 예방 프로그램 : 효과가 있을까? (선수트레이너의 논문분석/ KS test, Chi square)

by 다독이_선수트레이너 2025. 3. 8.

논문 제목 : Throwing Injuries in Youth Baseball Players: Can a Prevention Program Help?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 연구의 목적

어깨와 팔꿈치 부상은 어린 야구 선수들에게 흔한 문제이며, 이러한 부상을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예방 전략이 필요합니다. 기존 연구에서는 특정 운동 프로그램이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했지만, 무작위 대조 시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과 같은 신뢰도 높은 연구는 부족했습니다.

이번 연구의 목표는 신체 기능을 개선하고, 이미 알려진 위험 요인을 해결함으로써 부상 발생률을 낮추는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입니다. 연구진은 어린 야구 선수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이 실제로 부상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지 평가하고자 했습니다.

2. 연구의 효과 측정 방법

연구에서는 선수들에게 특정한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세 가지 주요 요인을 측정하여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했습니다.

① 팔꿈치 및 어깨 부상 발생률 (Elbow, Shoulder Injury Incidence)

  • 선수 노출 횟수(Athlete-Exposure, AE)당 부상 발생률을 계산
  • 연구 기간 동안 4차례에 걸쳐 데이터를 수집
  • 부상 발생률을 어깨 부상과 팔꿈치 부상으로 나누어 별도로 측정

② 야구 퍼포먼스 관련 요인 (Baseball Performance Factor)

선수들의 공 속도(Ball Speed) 변화를 사전/사후 비교

③ 신체 기능 관련 요인 (Physical Function Variable)

  • 팔꿈치 및 어깨의 가동 범위(ROM)
  • 엉덩이 내회전(hip IR)
  • 어깨 수평 내회전(shoulder HA ROM)
  • 흉추 후만 각도(Thoracic Kyphosis Angle)
  • 균형 능력(Modified Star Excursion Balance Test, mSEBT)

논문 속 통계 분석 방법

1.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 (Kolmogorov-Smirnov Test, KS Test)

이 연구에서는 수집한 데이터가 정규 분포를 따르는지 확인하기 위해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KS Test) 을 사용했습니다.

KS 검정의 종류

  • One-Sample KS Test: 특정 데이터가 정규 분포를 따르는지 검정
    • 귀무 가설(H₀): 데이터는 정규 분포를 따른다.
    • 대립 가설(H₁): 데이터는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는다.
  • Two-Sample KS Test: 두 그룹의 데이터가 같은 분포를 따르는지 검정
    • 귀무 가설(H₀): 두 데이터의 분포가 동일하다.
    • 대립 가설(H₁): 두 데이터의 분포가 다르다. 

이 논문에서는 Kolmogorov-Smirnov 검정을 사용하여 연속형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따르는지 확인하였습니다. 각 데이터들이 정규분포를 따르는지를 왜 알아야 할까요? 사용할 수 있는 검정방법이 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 정규 분포를 따르는 경우: 독립표본 t-검정(Unpaired t-test) 을 사용하여 두 그룹 간 차이를 비교.
  •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는 경우: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여 두 그룹 간 차이를 비교.

 


 

추가) 연속형 변수와 범주형 변수란 무엇을 의미하나? 

  • 연속형 변수: 숫자로 나타낼 수 있는 변수 중 범위가 무한으로 표현될 수 있는 변수(길이, 시간, 무게 등)
  • 범주형 변수: 일정 범주로 나눌 수 있는 변수로 다시 순서형, 명목형으로 나뉨 (월, 연도, 성별, 난이도 등)

 

[이 논문에서 측정한 연속형 변수들]

  • 나이(Age)
  • 야구를 한 총 기간(Total years of playing baseball)
  •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 주당 연습 일수(Days per week of practice)
  • 팔꿈치 신전 제한(Elbow extension deficits)
  • 총 어깨 회전 가동 범위(Total shoulder rotation ROM)
  • 어깨 수평 내회전 제한(Shoulder HA deficits)
  • 흉추 후만 각도(Thoracic kyphosis angle)
  • 엉덩이 내회전 가동 범위(Hip IR ROM)
  • 공 속도(Ball speed) 

 

2. 카이제곱 검정 (Chi-Square Test)

이 연구에서는 카이제곱 검정을 활용하여 범주형 데이터 간의 관계를 분석했습니다.

 

카이제곱 독립성 검정 (Chi-Square Test for Independence)?

  •  범주형 변수 간의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 예시:
    • 귀무 가설(H₀): 운동 프로그램과 부상 발생률은 관련이 없다.
    • 대립 가설(H₁): 운동 프로그램과 부상 발생률은 관련이 있다.
  • 이 논문에서는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개입(intervention) 그룹과 대조(control) 그룹 간의 "투수 비율" 및 "어깨 또는 팔꿈치 통증의 병력 유병률"을 비교했습니다.

 

논문 결론 요약 

  • 10분 길이의 투구 부상 예방 프로그램이 청소년 야구 선수들의 어깨와 팔꿈치 부상 발생률을 48.5% 감소시킴. 
  • 예방 프로그램 참여 그룹에서 투구 속도가 6.4km/h 향상된 반면, 대조군은 4.1km/h 증가에 그침. 
  • 신체 기능 개선 효과로 어깨 수평 외전 ROM 결손 감소, 흉추 후만각 감소, 비우세측 고관절 내회전 ROM 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남. 
  • 프로그램의 높은 순응도(73.4%)가 효과의 주요 요인으로, 주 1회 이상 수행 시 부상 예방 효과가 나타남. 
  • 이 연구는 청소년 야구 선수들의 투구 부상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한 최초의 무작위 대조 시험임. 

논문에서 다룬 운동(영상으로 정리해서 제작해놓은 링크입니다!)

: https://www.instagram.com/reel/C7EiT6Zyp5P/?igsh=andoMWx4bmY2YnVz

 

 

 

위 내용은 통계학과 석사, 스포츠과학과 박사, 현직 선수트레이너 세 명이 쓰고 있는 전자책 내용의 일부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chaeyoun_at 계정을 참고해주세요!